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모두보기 (799) N
        • 스크랩 (465) N
        • 링크 (7)
        • 생각전달도구(IT) (29)
        • 투자하기 (88)
        • 사진찍기 (20)
        • 책읽기 (16)
        • 영화보기 (9)
        • 자료수집 (114)
        • 글쓰기 (36)
        • 집짓기 (0)
        • 보험지식 (2)
    • 홈
    • 태그
    • 방명록
    투자하기

    소비자 물가상승률 추이 그래프 1986~2011 -통계청「소비자물가지수」

    투자수익률이 물가상승률보다는 높아야겠죠. 현재 KDB다이렉트 금리는 3.05%입니다.(1월 2일부터 적용) 세금을 제하면 투자수익률은 2.58%밖에 안됩니다. 물가상승률이 이보다 높다면 마이너스 금리인 것이죠. 그렇다면 물가상승률은 얼마나 될까요? 알아보는 김에 물가상승률 기록을 모두 가져와봤습니다. 소비자물가 - 농축수산물 - 공업제품 - 집세 - 공공서비스 - 개인서비스 근원물가 생활물가 1986 2.8 1.9 2 4 3.4 5 3.7 - 1987 3 3.5 2.7 3.1 2.6 4.3 3 - 1988 7.1 13.4 3 5.4 5.5 9.2 6.1 - 1989 5.7 6.9 4.8 6.6 2.1 11 6 - 1990 8.6 11 5.2 10.5 6 14.5 8.4 - 1991 9.3 13.2 4.8..

    2013. 1. 1. 10:18
    투자하기

    2012 가계 부채규모, 재무여력비율 현황 그래프-박근혜 당선자 국민행복기금 조성 시급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005000 재무여력비율이란 소득에서 대출원리금 상환금액과 소비금액을 뺀 금액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지난 금융위기가 한창일 때인 2009년 6월에는 재무여력비율이 29.9%였다. 즉 월급이 100만원이라면 대출원금과 이자 상환, 그리고 소비하는데 돈을 쓰고도 29만 9천원이 남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3년이 지난 2012년 6월에는 재무여력비율이 9.7%밖에 되지 않는다. 월급 100만원에서 이제는 9만 7천원만 남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대출 원리금 상환의 압박이 더 커졌다는 것은 대출금리가 높아졌거나, 대출금..

    2012. 12. 24. 19:42
    투자하기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그래프 2010~2012 -한국은행, 연합뉴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2월 12일 2.75%로 동결되었다. 지난 10월에 인하되어 11월에 동결되었고, 이번 12월에도 동결되었다. 이로써 내 대신증권 CMA 금리도 2.8%로 유지될 것이다. 달러환율이 지금 1달러당 1074원. 원화절상을 두려워하는 수출기업과 정부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도록 압력을 넣지는 않았을까? 그런 압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이라는 자신들의 존재목적을 관철시킨 것일까? 아니면 레임덕에 허덕이는 이번 정권이 힘이 약해져서 그런 것일까? 상황이 어찌 되었든, 내 CMA 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는 높았으면 좋겠다.

    2012. 12. 16. 18:30
    투자하기

    가구주(세대주) 연령대별 순자산액, 자산·부채의 구성 그래프-2011가계금융조사, 통계청

    30대 미만이면 29세이하인데, 평균 순자산액이 2011년 기준으로 7천만원이 넘는다. 2010년에 비해 400만원이 많아졌다. 29세이하 가구주는 2010년~2011년 동안 평균 400만원씩 저축했다는 말이다. 30대는 그 1년동안 평균 400만원씩, 40대는 1000만원씩, 50대는 2500만원씩, 60대 이상은 1200만원씩 많아졌다. 20~30대는 저축을 통해서 돈이 늘어났을 것이고 40대~60대 이상은 저축과 투자를 통해 돈이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취업을 하지 못한 20~30대는 가구주(세대주)로 독립하지 못한 경우가 많을 것이기에 가구주가 아닌 사람을 포함한 연령대별 평균 순 자산액은 이보다 적을 것으로 보인다. 전 연령대에 걸쳐서 부동산 관련 자산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

    2012. 12. 15. 06:00
    투자하기

    대한민국 가구당 순자산 보유액 구간별 가구분포 그래프-2011년 가계금융조사, 통계청

    출처: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4/index.board 파란색 점선이 2010년 수치고, 분홍색 실선이 2011년 수치라고 나와있다. 둘을 비교해보면 2011년에 그래프가 좀 더 완만해졌다. 말인 즉, 중간에 있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양극단에 사람들이 더 늘어났다는 뜻이겠지. 하지만 그렇게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지는 않고 있다. 평균과 중위수는 2010년에 비해 2011년에 둘아 1천만원~2천만원정도 상승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의 가계금융조사는 표본 1만명을 대상으로 했기때문에 실제 수치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했다. 2011년 가계금융조사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가계금융현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이보다 좋은 자료가 없다. 순..

    2012. 12. 14. 06:00
    투자하기

    백만장자 부자지도, 10억 이상 예금자 분포도 그래프-전국, 수도권 출처찾기 동아일보

    요즘 이 그래프가 여기저기 많이 떠돌아다니길래, 그 출처가 어디인지 한번 찾아보았다. 네이버 이미지 검색에서 '10억원 이상 예금자 분포'으로 검색해본 결과 이 이미지들이 9건이 떴다. 올려진 시기를 살펴보니 대부분 2011~2012년이었는데 그중 한개가 2005년에 올려진 것으로 나와있었다. 들어가보니 역시 예상했던대로 뉴스기사가 딸려 있었다. 요즘 올라오는 글에는 그래프만 달랑 있어서 누가 임의적으로 만든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생기기도 했었는데, 확실한 출처가 있었던 것이다. 출처는 2005년 11월 동아일보 기사였다. 당시 10억 이상 예금자들에 대한 기획기사로 여러 개의 기사가 작성되었음을 확인했다. 7년이나 지난 기사였기 때문에 뉴스카테고리에서 이걸 찾기는 거의 불가능했던 것이다. 블로그에 뉴스..

    2012. 12. 12. 21:30
    자료수집

    연도별 한국 일본 무역수지, 대일 무역수지 추이 그래프-무역협회, 관세청

    1990년부터 2011년까지 대일 무역수지 추이를 볼 수 있다. IMF사태가 있었던 1998년과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제외하면 무역규모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그에따라 대일 무역적자 규모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정치적으로는 1945년에 해방이 되었을지는 몰라도 아직까지 경제적으로는 일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요즘은 한해에 300억달러 정도 적자를 보고 있다. 300억달러면 우리나라돈으로 대략 33조원. 일본으로부터 수입하는 제품들을 국내에서도 만들 수 있게 기술을 개발하고, 일본으로도 우리나라 제품을 많이 수출해야 무역적자규모는 줄어들 것이다. 일본에 한류열풍이 거세다고 하는데, 대일 무역적자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미미한 수준인 걸까?

    2012. 12. 8. 19:41
    • «
    • 1
    • 2
    • »

    전체 카테고리

    • 모두보기 799 N
      • 스크랩 465 N
      • 링크 7
      • 생각전달도구(IT) 29
      • 투자하기 88
      • 사진찍기 20
      • 책읽기 16
      • 영화보기 9
      • 자료수집 114
      • 글쓰기 36
      • 집짓기 0
      • 보험지식 2

    블로그 인기글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08-22 00:02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