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 / 2025. 1. 28. 21:18

Deepseek 비판에 대한 반박

반응형

<Deepseek>

중국에서 개발된 최상위급 티어의 인공지능 서비스.

이게 겨우 560만$의 훈련비용으로 단 2달만에 만들어져서 배포되었다고 해서....

미국 IT 업계 뒤집어지고, 엔비디아 개폭락하고 난리가 났는데..

여기에 대한 논쟁이 엄청나게 다양하게 이루어짐.

-----------------------

비판 1. 그거 560만불일 리가 없다. 그보다 훨씬 더 많이 썼을 것이다.

제일 의미없는 비판이다. 아니, 500만이 아니라 5천만이건, 5억이건 무슨 상관이냐.

어쨌건 미국회사들보다는 훨씬 적게 쓴 것 같은데.

아니, 사실은 미국회사들보다 더 많이 썼다고 가정해 보자.

그럼 그건 또 무슨 상관이냐?

미국 회사 서비스보다 27분의 1 가격으로 쓸 수 있다는데.

ChatGPT무료는 조금만 쓰면 돈내고 쓰라고 나온다.

딥시크는 어제 하루종일 써도 아무 소리 안 하더라.

그럼 비용 문제는 이야기 끝난 거 아닌가?

그 회사 개발비용이 얼마인지 알게 뭐야.
그 상품 가격이 중요하지.

중국AI의 가격은 동품질대 상품 가격의 27분의 1이다.

그만 알아보자.

----------------

비판 2. 시진핑 물어보면 딴 소리한다.

미국 챗봇에다가 트럼프 물어 보시라.

똑같이 딴소리한다.

뭔 지들은 엄청나게 표현의 자유 맘껏 발산하는 줄 알고 있어.

---------------------

비판 3. 이거 다 미국 것 베낀 거 아냐?

지금 나온 모든 인공지능 모델은 전부 구글의 트랜스포머 모델 베낀 거 아니냐?

이미 발표된 소프트웨어를 오픈해서 개량해 가서 발전을 이루자고 오픈소스 한 거자나.

이번 딥시크도 오픈소스이다.

미국은 그럼 이 중국 AI  안 베낄 거냐?

당연히 이것도 베낄 거자나.

----------------

비판 4. 어차피 미국이 압도적 물량 퍼부어서 결국 이길 것이다.

이건 사실 비판이 아니라, 그냥 미국의 희망.

이 희망대로 하려면 미국이 딥시크보다 더 싸게 더 잘 만들면 됨.

지금까지 미국에서 제일 잘 만든 모델의 27분의 1 가격이니깐, 이보다 더 싸게 잘 만들면 되는 문제임.

27배 더 비싸게 받으면서도 어마무시한 적자 보던 미국 애들이 앞으로 잘 할 거라고 하는 건 그냥 응원이지 전망이라 하기 힘들다.

일단 내어 오는 거 보고 판단해 보자.

---------------

중국이 큰 거 하나 했으니 앞으로 놀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미 압도적인 기량을 과시했으니, 더 치고 나갈 것이다.

미국이 얼마나 잘 따라가느냐가 문제일 것이다.

미국과 중국이 이렇게 치고받고 하는 와중에,

우리는 법원 건물에 처들어가서 치고받고 하는 애들을 보면서 역사강사라는 놈은 선관위가 문제라고 떠들고 다닌다.

우리는 그냥 안될 거야.  아마.


https://www.facebook.com/share/18dh9J7Xxg/

로그인 또는 가입하여 보기

Facebook에서 게시물, 사진 등을 확인하세요.

www.facebook.com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