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모두보기 (792) N
        • 스크랩 (458) N
        • 링크 (7)
        • 생각전달도구(IT) (29)
        • 투자하기 (88)
        • 사진찍기 (20)
        • 책읽기 (16)
        • 영화보기 (9)
        • 자료수집 (114)
        • 글쓰기 (36)
        • 집짓기 (0)
        • 보험지식 (2)
    • 홈
    • 태그
    • 방명록
    투자하기

    kdb다이렉트 하이어카운트 계좌 영업점 방문 개설-산업은행 논현지점, 7호선 강남구청역 3번출구

    제가 지금 짜투리 돈을 넣어놓는 대신증권 cma보다 산업은행 kdb다이렉트 계좌 금리가 0.45%더 많다는 내용을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대신증권 cma 2.8%, kdb다이렉트 3.25%) 오늘에야 Kdb다이렉트 하이어카운트 계좌를 개설 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사는 곳에는 kdb산업은행지점이 없고, 산업은행 직원 방문 계좌 개설을 지원해주는 지역이 아닙니다.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는 수 밖에 없죠. 오늘 서울에서 지인들과 만나러가는 길에 kdb산업은행 논현지점에 들렀습니다. 목적지는 서울대입구역이었는데 그 길로 가는 경로에 걸쳐있는 영업점을 다음지도어플로 찾아보았습니다. 7호선으로 갈아타서 강남구청역에서 내리고 3번 출구로 나오니 바로 kdb산업은행 논현지점이 있는 건물지하네요. Kdb산업은행 논현..

    2012. 12. 21. 13:54
    투자하기

    근로소득자 과세표준 구하는 방법-근로소득공제, 국세청 공식 블로그

    과세표준이란 한번에 이해하기 조금 복잡한데요, 하나씩 차근차근 이해하시면 됩니다. 보기 편하게 공식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과세표준 = 근로소득금액(총급여-근로소득공제) - 소득공제 -----> 근로소득자 여기서 또 근로소득공제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근로소득공제란 근로자의 최저생활을 배려하기 위한 것으로, 구하는 방식은 이렇습니다. 근로소득공제를 정하는 기준은 총급여를 기준으로(총급여액은 받은 돈 중 비과세소득인 교통비와 식대를 제외한 금액) 총급여가 500만원 이하: 총급여*80% 500만원-1500만원 : 400만원 + 500만원 초과금액의 50% 1500만원-3000만원 : 900만원 + 1500만원 초과금액의 15% 3000만원-4500만원 : 1125만원 + 3000만원 초과금액의 10% ..

    2012. 12. 21. 06:00
    투자하기

    금융감독원 연금저축 통합공시 오픈-금감원 은행, 자산운용사,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연금저축 상품 비교

    링크: http://www.fss.or.kr/fss/kr/popup/pension_info.html 연금저축이란 은퇴 후 노후생활을 위해 최소 10년동안 납입한 금액을 적립하여 55세 이후 5년 이상 연금으로 받게 되는 초장기 저축 상품으로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세 가지가 있습니다. 매회 1만원 이상, 분기당 3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연간 최대 40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액에 대해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중도해지시, 기타소득세, 해지가산세 부과) 그런데 최근 이 연금저축에 대해서 논란이 많습니다. 수익률도 좋지 않고, 수수료로 떼가는 돈도 많기 때문에 이익을 보는 것은 연금수령자가 아니라 금융사들 뿐이라는 겁니다. 관련기사: 금융사만 좋은 일 시킨 연금저축…수익률..

    2012. 12. 18. 17:56
    투자하기

    일본 자민당 총선 압승에 따른 엔화 약세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한국무역협회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22&aid=0002472620 2009년, 54년간 자민당이 집권하다가 민주당으로의 정권교체가 있었다. 2012년, 자민당이 다시 정권을 잡게 되었다. 자민당은 보수세력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와의 사이도 독도문제로 인해 그닥 좋지 않을 것이다. 조어도때문에 중국과도 쿠릴열도 때문에 러시아와도 사이가 좋지 않을 것이다. 야스쿠니 신사참배 문제가 또 뉴스에 나오지 않을까 싶다. 자민당은 수출을 늘리고자 엔화약세 정책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양적완화하는 것 처럼 일본도 돈을 마구 찍어댈 것이다. 엔화가치가 떨어지면 외국에서는 일본에서 만든 제품들을 싸게 살 수 있을 것이고, 그렇..

    2012. 12. 17. 20:30
    투자하기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그래프 2010~2012 -한국은행, 연합뉴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2월 12일 2.75%로 동결되었다. 지난 10월에 인하되어 11월에 동결되었고, 이번 12월에도 동결되었다. 이로써 내 대신증권 CMA 금리도 2.8%로 유지될 것이다. 달러환율이 지금 1달러당 1074원. 원화절상을 두려워하는 수출기업과 정부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도록 압력을 넣지는 않았을까? 그런 압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이라는 자신들의 존재목적을 관철시킨 것일까? 아니면 레임덕에 허덕이는 이번 정권이 힘이 약해져서 그런 것일까? 상황이 어찌 되었든, 내 CMA 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는 높았으면 좋겠다.

    2012. 12. 16. 18:30
    투자하기

    가구주(세대주) 연령대별 순자산액, 자산·부채의 구성 그래프-2011가계금융조사, 통계청

    30대 미만이면 29세이하인데, 평균 순자산액이 2011년 기준으로 7천만원이 넘는다. 2010년에 비해 400만원이 많아졌다. 29세이하 가구주는 2010년~2011년 동안 평균 400만원씩 저축했다는 말이다. 30대는 그 1년동안 평균 400만원씩, 40대는 1000만원씩, 50대는 2500만원씩, 60대 이상은 1200만원씩 많아졌다. 20~30대는 저축을 통해서 돈이 늘어났을 것이고 40대~60대 이상은 저축과 투자를 통해 돈이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취업을 하지 못한 20~30대는 가구주(세대주)로 독립하지 못한 경우가 많을 것이기에 가구주가 아닌 사람을 포함한 연령대별 평균 순 자산액은 이보다 적을 것으로 보인다. 전 연령대에 걸쳐서 부동산 관련 자산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

    2012. 12. 15. 06:00
    투자하기

    그리스 경제위기의 원인-빈부격차, 지하경제, EU유럽연합 가입-최진기, 오마이뉴스 뉴스위크

    y축은 전체 공공사회지출로 교육, 국방, 치안, 노동복지 등에 쓰이는 돈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고, x축은 공공사회지출 중에서 저소득층, 실업자, 소년소녀가장 등 빈곤한 사람들에게 쓰이는 돈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우리나라는 그래프에 나타난 나라들 중에가 x축, y축 모두 가장 작은 값을 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와 반대로 스웨덴과 덴마크는 복지국가의 전형적인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문제가 되는 그리스의 경우 전체 공공사회지출은 많지만 가족, 노동복지 지출은 적다. 그것이 무슨 말이냐면, 교육, 국방, 치안 등에 쓰이는 돈은 많은데, 빈곤층에 쓰이는 돈은 적다는 것이다. 교육, 국방, 치안에 쓰인다는 돈은 대부분 교육공무원, 군인, 경찰공무원 등의 임금과 연금에 쓰인다. 위 사..

    2012. 12. 14. 22:00
    투자하기

    대한민국 가구당 순자산 보유액 구간별 가구분포 그래프-2011년 가계금융조사, 통계청

    출처: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4/index.board 파란색 점선이 2010년 수치고, 분홍색 실선이 2011년 수치라고 나와있다. 둘을 비교해보면 2011년에 그래프가 좀 더 완만해졌다. 말인 즉, 중간에 있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양극단에 사람들이 더 늘어났다는 뜻이겠지. 하지만 그렇게 급격한 변화를 보여주지는 않고 있다. 평균과 중위수는 2010년에 비해 2011년에 둘아 1천만원~2천만원정도 상승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의 가계금융조사는 표본 1만명을 대상으로 했기때문에 실제 수치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했다. 2011년 가계금융조사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가계금융현황을 대략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이보다 좋은 자료가 없다. 순..

    2012. 12. 14. 06:00
    투자하기

    대한민국 상위 1% 부자-매일경제가 통계청에서 2010가계금융조사 자료를 받아 작성

    Domo asusta a Danbo - Domo scares Danbo by GViciano 이미지와 글내용은 아무런 관련이 없음. 매일경제신문이 통계청 자료(2010년 가계금융조사)를 받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173368 소득 상위 1% 연평균 소득 : 2억4089만원 (세금 등 비소비 지출이 매년 6022만원 + 가처분소득 평균은 1억8066만원) 자산총액 : 20억7794만원 부채총액 : 3억8935만원 평균 연령 : 48.8세 직업: 전문직 41.7%, 관리직 28.5%, 판매직 9.6%, 사무직 5.3% 자산 상위 1% 연평균 소득 : 1억2216만원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가처분 소득은 더 낮음) 자산총..

    2012. 12. 13. 06:00
    투자하기

    백만장자 부자지도, 10억 이상 예금자 분포도 그래프-전국, 수도권 출처찾기 동아일보

    요즘 이 그래프가 여기저기 많이 떠돌아다니길래, 그 출처가 어디인지 한번 찾아보았다. 네이버 이미지 검색에서 '10억원 이상 예금자 분포'으로 검색해본 결과 이 이미지들이 9건이 떴다. 올려진 시기를 살펴보니 대부분 2011~2012년이었는데 그중 한개가 2005년에 올려진 것으로 나와있었다. 들어가보니 역시 예상했던대로 뉴스기사가 딸려 있었다. 요즘 올라오는 글에는 그래프만 달랑 있어서 누가 임의적으로 만든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생기기도 했었는데, 확실한 출처가 있었던 것이다. 출처는 2005년 11월 동아일보 기사였다. 당시 10억 이상 예금자들에 대한 기획기사로 여러 개의 기사가 작성되었음을 확인했다. 7년이나 지난 기사였기 때문에 뉴스카테고리에서 이걸 찾기는 거의 불가능했던 것이다. 블로그에 뉴스..

    2012. 12. 12. 21:30
    • «
    • 1
    • 2
    • 3
    • 4
    • 5
    • 6
    • 7
    • ···
    • 9
    • »

    전체 카테고리

    • 모두보기 (792) N
      • 스크랩 (458) N
      • 링크 (7)
      • 생각전달도구(IT) (29)
      • 투자하기 (88)
      • 사진찍기 (20)
      • 책읽기 (16)
      • 영화보기 (9)
      • 자료수집 (114)
      • 글쓰기 (36)
      • 집짓기 (0)
      • 보험지식 (2)

    블로그 인기글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07-17 00:01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