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모두보기 (792) N
        • 스크랩 (458) N
        • 링크 (7)
        • 생각전달도구(IT) (29)
        • 투자하기 (88)
        • 사진찍기 (20)
        • 책읽기 (16)
        • 영화보기 (9)
        • 자료수집 (114)
        • 글쓰기 (36)
        • 집짓기 (0)
        • 보험지식 (2)
    • 홈
    • 태그
    • 방명록
    투자하기

    외화예금과 외화대출 추이로 예상해 보는 원화·달러·엔화 가치, 환율의 방향-원화 강세와 재테크

    미국과 일본 모두 양적완화 정책을 펴고 있는 상황에서 원화가치는 상대적으로 절상되고 있다. 이렇게 환율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외화 예금과 대출 수요도 변하고 있다. 출처: [파이낸셜 포커스] 원화 강세에 급변하는 재테크 패턴 위 뉴스를 보면 그래프에서 보이는 우리은행 뿐만 아니라 다른 은행들도 외화예금, 대출 추이는 비슷하다. 외화예금은 꾸준히 늘고 있고, 외화 대출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생각해봐야할 것이 있다. 지금 원화는 외화에 비해 6개월째 가치가 꾸준히 절상되고 있다. 만약 앞으로도 계속 원화 가치가 절상되어 달러나 엔화 환율이 하락한다면 지금 시점에서 외화예금을 늘리고 외화대출을 줄이는 것은 손해를 보는 투자가 될 것이다. 반대로 원화가치가 절하되어 환율이 상승한다면..

    2013. 1. 4. 18:27
    투자하기

    국내총생산(명목GDP) 및 경제성장률(실질GDP성장률) 추이 그래프 1970~2011 -한국은행「국민소득」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에 대한 뉴스를 자주 봤었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한번 살펴본적이 없었습니다. 물가상승률을 알아볼 때 경제성장률 추이도 같이 알아봤습니다. 국내총생산 (명목GDP) 경제성장률 (실질GDP성장률) 1970 2,775 - 1971 3,435 10.4 1972 4,241 6.5 1973 5,499 14.8 1974 7,845 9.4 1975 10,478 7.3 1976 14,411 13.5 1977 18,502 11.8 1978 24,945 10.3 1979 32,049 8.4 1980 39,110 -1.9 1981 49,306 7.4 1982 56,677 8.3 1983 66,685 12.2 1984 76,524 9.9 1985 85,699 7.5 1986 100,254 12.2 1987 ..

    2013. 1. 2. 06:00
    투자하기

    소비자 물가상승률 추이 그래프 1986~2011 -통계청「소비자물가지수」

    투자수익률이 물가상승률보다는 높아야겠죠. 현재 KDB다이렉트 금리는 3.05%입니다.(1월 2일부터 적용) 세금을 제하면 투자수익률은 2.58%밖에 안됩니다. 물가상승률이 이보다 높다면 마이너스 금리인 것이죠. 그렇다면 물가상승률은 얼마나 될까요? 알아보는 김에 물가상승률 기록을 모두 가져와봤습니다. 소비자물가 - 농축수산물 - 공업제품 - 집세 - 공공서비스 - 개인서비스 근원물가 생활물가 1986 2.8 1.9 2 4 3.4 5 3.7 - 1987 3 3.5 2.7 3.1 2.6 4.3 3 - 1988 7.1 13.4 3 5.4 5.5 9.2 6.1 - 1989 5.7 6.9 4.8 6.6 2.1 11 6 - 1990 8.6 11 5.2 10.5 6 14.5 8.4 - 1991 9.3 13.2 4.8..

    2013. 1. 1. 10:18
    투자하기

    산업은행 KDB다이렉트 상품 금리 인하 안내 문자-13년 1월 2일부터 적용 금리 인하

    Kdb산업은행으로부터 문자가 왔습니다. 얼마 전에 KDB다이렉트라는 상품이 감사원으로부터 역마진구조라는 지적을 받았다는 뉴스를 본적이 있습니다. 그 전에 산업은행의 순이익이 KDB다이렉트 상품을 내놓은 후 1/3으로 급감했다는 뉴스도 있었죠.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10월부터 이번달 까지 2.75%로 동결하고 있습니다. 2013년 1월 2일부터 기존 3.25%에서 3.05%로 내리는 건 아마도 기준금리 때문이 아니라 감사원 지적의 영향이 아닐까 싶네요.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전에 쓰던 대신증권 CMA 금리보다는 0.25% 높습니다. CMA와 금리가 같아진다고 해도 KDB다이렉트가 자금을 이체하거나 현금을 찾을 때 훨씬 유리합니다. 따라서 금리가 역전되지 않는이상 다시 CMA로 돈을 옮겨야 할 일은 ..

    2012. 12. 31. 16:50
    투자하기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금액 4천만원에서 2천만원으로 인하 여야 잠정 합의-금융종합과세

    먼저 금융소득종합과세의 개념에 대해 살펴봅시다. 금융소득종합과세란 이자소득, 배당소득이 일정규모(종전까지는 4천만원)을 넘어설 경우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누진종합세율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4천만원 이하까지는 15.4%의 세금만 가져가지만, 4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누진종합세율을 적용하는 것이죠. 누진종합세율이란 종합소득세율 구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링크: http://palix.tistory.com/658 4천만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 위 표의 구간에 맞춰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죠. 그런데 이번에 여당과 야당이 증세안에 합의를 봤는데 그 중에 하나가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금액을 4천만원에서 2천만원으로 인하한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금융소득 2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 누진종합세율을 ..

    2012. 12. 28. 16:32
    투자하기

    2012 한국, 미국, 일본 유가증권시장 폐장일-2013 연초 개장일

    올해 우리나라 폐장일은 내일인 12월 28일이다. 일본은 오늘 12월 27일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며 폐장했다. 9개의 휴장일이 따로 정해져 있는 것으로 보아 미국은 31일이 폐장일인듯. 참고로 우리나라 배당락일은 오늘 12월 27일이었기 때문에 배당을 받으려면 어제인 26일까지 주식을 매수했어야한다. 2013년 개장일은 1월 2일. 거래는 10시부터 시작된다.

    2012. 12. 27. 17:44
    투자하기

    수시입출금계좌를 없애고 CMA와 KDB 다이렉트 계좌를 만들자-호갱님을 위한 저원가성 예금

    Organizing monetary policy and decides about interest rates, everybody will feel it's impact! The Bank of England in London! Count the joy my friends! On the money of course!:) by || UggBoy♥UggGirl || PHOTO || WORLD || TRAVEL || "예금 좀…" 은행 지점장들, 식당·병원 찾아 굽실 보통 은행에서 가입하는 수시입출금 계좌의 금리는 0.1%에 지나지 않는다. 수시로 돈이 들어왔다 나가니까 어디 한군데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없어, 적금처럼 높은 금리를 적용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한 계좌에 국한했을 때나 맞는 말이지 수..

    2012. 12. 25. 10:28
    투자하기

    2012 가계 부채규모, 재무여력비율 현황 그래프-박근혜 당선자 국민행복기금 조성 시급

    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6005000 재무여력비율이란 소득에서 대출원리금 상환금액과 소비금액을 뺀 금액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지난 금융위기가 한창일 때인 2009년 6월에는 재무여력비율이 29.9%였다. 즉 월급이 100만원이라면 대출원금과 이자 상환, 그리고 소비하는데 돈을 쓰고도 29만 9천원이 남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3년이 지난 2012년 6월에는 재무여력비율이 9.7%밖에 되지 않는다. 월급 100만원에서 이제는 9만 7천원만 남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대출 원리금 상환의 압박이 더 커졌다는 것은 대출금리가 높아졌거나, 대출금..

    2012. 12. 24. 19:42
    투자하기

    2012년 대한민국 전체 가구수와 가계부채규모, 연평균 가구수 변화-KB금융 경영연구소, 통계청

    아직 포스팅은 하지 않았지만, 얼마 전 통계청에서 2012 가계금융조사를 발표했다. 이를 근거로 여러 매체들에서 뉴스를 띄우고 있는데, 그 중 눈길을 끈 것은 가구별 부채가 5300만원에 달한 다는 것. 가구당 가계 빚 5300만 원…빈곤 문제 심각 나는 개인적으로 빚이 없고, 우리 가족들도 그렇다. 우리 가족의 가구수는 4가구. 나도 지금은 혼자 가구주가 되어있다. 나를 포함한 우리가족 4가구는 빚이 없는데 가구별 평균부채가 5300만원에 달한 다는 것은 누군가 보다 더 많은 부채를 짊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빚이 있다고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자산이 많을 수록 빚은 많아지는 법이니까. 하지만 경기하락과 자산디플레이션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부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한 가구..

    2012. 12. 23. 04:31
    투자하기

    2012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구간 개정안-2011년 소득세율 구간과 비교, 누진공제

    연말정산 대비하시느라 머리아프시죠? 2012년 올해 개정된 종합소득세율 구간 안내합니다. 과세표준 1200만원이면 72만원을, 과세표준 4600만원이면 582만원을, 과세표준 8800만원이면 1590만원을, 과세표준 3억원이면 무려 9010만원을 소득세로 내야하는군요. 과세표준 구하는 방법 2011년과 달라진 점은 3억원 초과 구간이 새로 생긴 것입니다. 3억원을 초과하는 돈은 38%를 세금으로 내야하네요. 표로 비교해봅시다. 3억원 초과 구간이 하나 더 생겼을 뿐이네요. 어제 대선에서 새로운 대통령이 뽑혔는데, 새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또 어떻게 바뀔지는 모르지만 설사 변한다고 해도 크게 변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2012. 12. 22. 06:00
    • «
    • 1
    • 2
    • 3
    • 4
    • 5
    • 6
    • ···
    • 9
    • »

    전체 카테고리

    • 모두보기 (792) N
      • 스크랩 (458) N
      • 링크 (7)
      • 생각전달도구(IT) (29)
      • 투자하기 (88)
      • 사진찍기 (20)
      • 책읽기 (16)
      • 영화보기 (9)
      • 자료수집 (114)
      • 글쓰기 (36)
      • 집짓기 (0)
      • 보험지식 (2)

    블로그 인기글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07-17 00:01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